728x90 Windows3 윈도우즈 Temp 폴더 용도와 삭제 방법 - C:\\Users\username\AppData\Local\Temp 윈도우즈를 사용하다보면 별의 별 일들이 생기는데요. 아래처럼 C 드라이브의 사용가능 공간이 0kb가 되는 불상사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어떠한 이유때문일까요? 사용자가 다운받은 파일이 많거나 설치한 프로그램들이 많은 경우도 있지만, 윈도우즈 업데이트하거나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프로그램을 설치할때 발생되는 임시파일들이 Temp 폴더에 쌓이고, 지워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 노트북의 Temp 폴더를 확이해보면 아래처럼 희한한 문자열의 폴더들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아래 폴더의 용량을 확인해보면 수십 GB에 해당하는 용량을 차지하기도 합니다. 윈도우 10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면, %temp%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에서의 username은 윈도우즈의 설치하실때 지정하신 이름을 말합니다. C.. 2024. 3. 11. Windows 10 Telnet (텔넷) 명령어 활성화 / 사용 방법 윈도우즈 10의 cmd 창에서 telnet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먼저 telnet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telnet 클라이언트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어판에서 Windows 기능을 켜기/끄기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제어판을 엽니다. 프로그램을 클릭합니다. 프로그램 및 기능을 클릭합니다.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클릭합니다. 텔넷 클라이언트 앞의 체크박스를 선택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cmd 창을 열고 telnet 명령어를 입력하여 telnet 클라이언트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C:\Users\[사용자 이름]> telnet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Microsoft Telnet Client Versi.. 2023. 11. 9. 윈도우 10 비정상 종료. kernel power 관련 문제 해결하기... 윈도우 10 비정상 종료. kernel power 관련 문제 해결하기... 노트북을 켜둔 상태에서 화면 잠금 모드 실행( 윈도우 로고Key + L )하여 자리를 비운 상태에서 얼마동안의 시간이 지난 후 돌아와서 컴퓨터를 화면 잠금 모드에서 해제 후 접속해보면 구동중이었던 프로그램들이 모두 사라지고, 컴퓨터가 재부팅 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화면 잠금 모드로 하기 전에 작업중이던 것들을 저장하지 않았다면 모두 날리는 일이 발생하는 거죠. ㅡ.ㅡa 원인을 여러모로 찾아보던 중에 윈도우 이벤트 뷰어 ( 윈도우 로고Key + Q 한 후 "eventvwr" 혹은 "이벤트 뷰어" 찾기/실행)를 통해 확인 결과 아래와 같은 에러가 자주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해당 Kernel-Power (이벤트 ID : 41) 오.. 2022. 11. 9. 728x9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