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공동육아6

'공동육아' 란? (보육권리 선언 포함) '공동육아' 란? 공동육아란 ‘탁아’ 혹은 ‘보육’으로 부르는 제도적 집단 양육방식을 말합니다. 탁아, 보육, 공동육아는 각각 다른 시대의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여 만들어진 말로서 서로 다른 세계관, 인간관에 바탕을 둔 각각의 지향점이 본질적으로 다른 개념입니다. ‘탁아’는 일본에서 custodial child - care를 변역하여 만든 일본식 한자 조어로 어른들과 사회의 필요에 따라 ‘아이를 맡긴다’는 뜻입니다. 이는 ‘아이를 지키고 돌본다’는 custodial의 의미보다 어른중심의 기능론적 의미를 강조함과 동시에 여성의 노동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만든 의미로 근대 일본국가주의 반영이라 할 수 있으며, 패전 후 일본은 ‘탁아’ 대신 ‘보육’ ‘탁아소’ 대신 ‘보육원’으로 명칭을 바꾸게 됩니다. 우리 사회.. 2022. 8. 27.
세시 절기 이야기 -24절기 세시절기 이야기 - 24절기 공동육아에서는 세시와 절기의 풍속 및 먹을거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이들의 생활도 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세시와 절기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짚어보고 공동육아에서 세시와 절기가 갖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자. 세시풍속은 음력의 월별 절기와 명절로 구분되어 있으며 집단적 또는 공통적으로 집집마다 촌락마다 또는 민족적으로 관행(慣行)에 따라 전승되는 의식, 의례행사와 놀이이다. 오늘날 행하여지고 있는 세시풍속은 예로부터 정해진 것은 아니며 또 옛 문헌에 보이는 것 중에는 이름만 남아있고, 현재 일반적으로 행하지 않는 것도 많이 있다. 세시가 뚜렷한 우리나라는 절기에 따라 많은 명절에 조상숭배, 농사의례 ,정서순화 등의 의미를 갖는 행사나 놀이를 하였으며 액을 면하는 풍속.. 2022. 3. 23.
공동육아 - 육아부담은 덜고, 아이의 사회성까지 기른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아이를 돌보는 일은 더 이상 부모에게 전담되는 일은 아닐 듯하다. 맞벌이 부부가 늘어남에 따라 양육비 지원과 육아휴직 등 제도적 차원의 해법이 제시되고 있긴 하지만, 조부모의 양육이나 보육 시설의 도움 없이 아이를 기른다는 것은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논란이 된 일련의 어린이집 학대 사건들은 부모들로 하여금 보육환경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고민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 해법 중 하나로 눈길을 끌고 있는 것이 바로 ‘공동육아’이다. 공동육아는 여러 가정의 아이들을 한곳에 모아 공동으로 돌보는 일을 말한다. 맞벌이를 하고 있거나 일반적인 보육시설이 아닌 곳을 원하는 부모들이 보육공동체를 만들어 각자의 집에서 품앗이 형태로 아이들을 돌보거나, 공동 출자를 통해 어린이.. 2019. 8. 14.
공동육아 의미 공동육아 의미 공동육아는 ‘너와 내가 어울려 함께 세상을 살아가기’입니다. '내 아이'를 맡기거나, '남의 아이'를 보호해 주는 것을 넘어서 '우리 아이들'을 함께 키우자는 뜻이지요. 나뿐만 아니라 이웃, 지역사회와 국가가 어울려 우리 모두의 아이들을 소중하고 아름답게 키우는 일입니다. 아이들을 키우는 것은 육아에 대한 어른들의 인식변화와 육아를 통한 어른들의 생활변화, 그리고 사회문화의 변화를 요구하는 일입니다. 특히 형제자매가 적은 요즈음 아이들이 더불어 사는 삶이 아름답다는 것을 알고, 부모들도 스스로 가꾸어가는 삶의 소중함을 더 넓은 공동체 차원에서 실현해 가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공동육아는 '내 아이만 키우기' 가 아니라 '너와 내가 어울려 함께 세상을 살아가기'입니다. 공동육아는 실제적, 정서.. 2019. 8.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