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뜻과 입춘 시간은?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뜻과 입춘 시간은?
입춘 (立春)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첫 번째 절기. 24절기
2024년 갑진년(甲辰年) 2월 4일.
절기상으로 봄이 되는 입춘날입니다.
입춘시는 오후 17시 26분 (입춘 당일에 시(時)를 맞추어 붙여야 효험이 있다고 함)
입춘(立春)은 한 해를 열고 봄을 알리는 절기이기 때문에 다양한 세시풍속을 통해 이를 기념하는데요. 요즘에는 여러가지 복잡한 의례들을 생략하고, ‘입춘문(立春文)’을 붙이는 것으로 만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입춘문(立春文)으로 사용하는 문구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인데요. 뜻은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에서 궁금한 것이 생기는데요. 입춘대길(立春大吉)의 '입'자가 왜 '들 입(入)'이 아니라 '설 립(立)'자를 쓰는가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봄이 들어오는 것이 아닌 준비된 것을 시작한다는 의미의 설 입(립)'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각 한자의 뜻을 한번 볼까요?
立 | 春 | 大 | 吉 |
설 입(립) | 봄 춘 | 큰 대 | 길할 길 |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리라. |
建 | 陽 | 多 | 慶 |
세울 건 | 햇볕 양 | 많을 다 | 경사 경 |
봄의 따스한 기운이 감도니 경사로운 일이 많으리라 |
전하는 말로는 조선 시대 남인의 거두였던 미수 허목이 만들었다고 한다.
봄을 맞이하는 24절기인 입춘 때 한 해의 길운을 기원하면서 쓰는 글이다. 보통 축원과 액막이를 목적으로 대문이나 대들보, 천정, 문설주 등에다가 붙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입춘첩이라고 하여 부적처럼 회화나무를 원료로 하여 노란 물을 먹인 괴황지에 경면주사로 글씨를 써서 붙이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입춘시인 오후 17시 26분(입춘 당일에 시(時)를 맞추어 붙여야 효험이 있다고 함)에 정확하게 붙이는 사람들도 있다.
해당년도 | 이전(以前)에 태어난 아이의 띠 | 입춘일 입춘시 | 후(後)에 태어난 아이의 띠 |
2024년 |
토끼띠 |
2월 4일 (일) 17시 26분 |
용띠 |
2023년 |
범띠 (호랑이) |
2월 4일 (토) 오전 11시 43분 |
토끼띠 |
2022년 |
소띠 |
2월 4일 (금) 17시 51분 |
범띠 (호랑이) |
2021년 |
쥐띠 |
2월 3일 (수) 23시 59분 |
소띠 |
2020년 |
돼지띠 |
2월 4일 (화) 18시 03분 |
쥐띠 |
2019년 |
개띠 |
2월 4일 (목) 12시 14분 |
돼지띠 |
2018년 |
닭띠 |
2월 4일 (일) 06시 28분 |
개띠 |
2017년 |
원숭이띠 |
2월 4일 (토) 00시 34분 |
닭띠 |
띠는 음력설이 기준이다?
한국인은 누구나 자기 띠를 알고 있다. 우리에게 띠는 특별하고 유별나다. 사주팔자를 점치고 희로애락과 생로병사를 예견하는 관습적·문화적 요소다. 그래서 띠가 좋은 해에 자녀를 낳으려는 토템신앙이 우리 마음속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다.
띠는 십이지지(十二地支)를 상징하는 동물로 구성돼 있다. 자(子, 쥐), 축(丑, 소), 인(寅, 호랑이), 묘(卯, 토끼), 진(辰, 용), 사(巳, 뱀), 오(午, 말), 미(未, 양), 신(申, 원숭이), 유(酉, 닭), 술(戌, 개), 해(亥, 돼지). 십이지지를 동물로 변환시킨 최초의 문헌 기록은 중국 후한의 왕충이 지은 《논형(論衡)》에 나온다. 열두 동물의 특성과 성질을 모두 한자리에 모으면 인간의 속성이 그대로 드러난다고 한다.
띠는 음력설을 기준으로 한다? 그렇지 않다. 엄밀하게 따져 음력설과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다. 음력설이 되면 해가 바뀌어 새해가 되지만 띠는 요지부동이다. 띠는 태양력도 아니고, 태음력도 아니다. 띠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정하는 절기력(節氣曆)을 기준으로 한다. 절기력은 태양의 황도(黃道, 태양이 움직이는 길)에 따라 매겨진다. 입춘(立春)을 시작으로 해서 대한(大寒)으로 끝나는 24절기는 정확히 양력 날짜와 일치하게 된다.
태양의 1년 변화 중에 가장 먼저 드는 절기가 입춘이다. 입춘은 봄에 해당한다. 봄은 1년 춘하추동(春夏秋冬) 사계절 중 첫 번째 계절로 음력 1월, 2월, 3월에 해당한다. 봄에 해당하는 절기는 입춘,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이다. 이 중 정월에 드는 절기가 입춘과 우수다. 종합하면 1년은 봄에서 시작하고, 봄은 정월에서 시작하고, 24절기는 정월의 입춘 절기에서 시작한다. 이런 이유로 입춘 일시가 띠를 구별하는 기준점이 된다.
김일권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띠는 태양의 위치를 따라 매기는 시간 요소여서 24절기 중 1년의 시작 절기인 입춘을 기준으로 따진다”고 말한다. 입춘은 정월에 드는 첫 번째 절기로 한 해의 시작을 알린다. 그래서 입춘이 띠의 시작점이 되는 것이다. 띠의 입장에서 보면 입춘이 설날인 셈이다.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한다.
대문에 붙이는 입춘대길(立春大吉)이라는 글귀는 단순히 건강과 행운을 기원하는 뜻 이상을 담고 있다. 즉 띠의 날인 입춘을 기리던 우리 풍속의 소중한 유산이다. 따라서 2012년 임진년(壬辰年)은 음력설(1월 23일)에 시작하지만, 2012년 용띠(60년 만에 돌아온 흑룡띠)는 입춘일(2월 4일)부터 카운트에 들어간다. 천간(天干)인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와 십이지지인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에서 임과 진이 만나는 해인 2012년을 특히 흑룡의 해라고 부르는 것은 색의 의미를 담은 음양오행설(木, 火, 土, 金, 水)을 덧붙인 결과다.
간지(干支, 천간과 지지를 일컫는 말)는 60년마다 돌아온다. 흔히 말하는 환갑(우리 나이로는 61세)이다. 환갑은 천간의 10개 기운이 갑(甲)으로 시작해 돌고, 지지의 12개 기운이 자(子)로 시작해 계속 돌아 다시 갑자(甲子)로 돌아오는 것을 뜻한다. 즉 환갑은 육십갑자가 다시 돌아왔다는 의미다.
24절기와 음력설은 항상 똑같은 거리를 유지하지 않는다. 때로는 서로 엇바뀌어 움직인다. 이 경우에 음력설이 지난 뒤에 입춘이 들어오면 새해가 되어도 띠는 아직 바뀌지 않게 된다. 반대로 음력설이 되기 전에 입춘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띠는 이미 바뀐 상태가 된다. 2011년은 음력설과 입춘이 하루밖에 차이 나지 않지만, 2012년은 음력설과 입춘 사이에 12일 정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양력으로 2012년 1월 23일(음력설)부터 2월 3일 사이에 태어난 사람은 음력 기준으로 1월 1일 이후라고 해도 띠는 용띠가 아닌 여전히 토끼띠라는 셈법이 나온다.
하지만 일부 역학자들은 띠의 기준을 입춘으로 정하는 데에 고개를 젓는다. 이들은 “절기를 기준으로 입춘이 지나야 띠가 바뀐다는 견해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음력설을 기점으로 보는 것이 맞다”고 반론을 제기한다. 동북아 3국 중 한국과 중국은 음력 1월 1일을, 일본은 양력 1월 1일을 설로 지내고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띠는 음력설이 기준이다? (의심 많은 교양인을 위한 상식의 반전 101, 2012. 9. 24., 김규회, 황선정, 송진욱)
민간의 설에 의하면 입춘대길(立春大吉)이라는 문구 자체가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며, 쓸 때도 그냥 쓰는 게 아니라 최대한 대칭성을 띠게끔 쓰는 게 좋다고 한다. 집을 범하려는 악령이, 들어갈 때 봤던 문구가 들어와서도 같은 모양인 것을 보고 제 딴엔 도로 들어가려다가 나가게 된다는 것이 그 이유.
보통 입춘대길(立春大吉)에는 좋은 일, 경사스러운 일이 많으라고 기원하는 의미로 건양다경(建陽多慶)을 추가로 붙이는 경우가 많다. 둘을 합치면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합니다'라는 축사가 된다. 보통 이 문구를 쓸 때는 여덟 팔 모양으로 입춘대길을 오른쪽에 붙이고, 건양다경을 반대축에 붙이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하다'라는 뜻으로 국태민안(國泰民安)이라고 써 붙이는 경우도 있다. 이 외에도 소문만복래(웃으면 만복이 온다) 등의 축원도 자주 나오는 축원. 모든 일이 뜻대로 잘 이루어지라고 만사형통(萬事亨通)을 붙이는 경우도 있고, 하여간 한 해에 있을 만한 좋은 복들을 부르는 말들은 다 들어갈 수 있다고 해도 된다.
추사 김정희의 경우 7세에 대문에다가 '입춘대길 건양다경'이라고 써다가 붙여 채제공이 그걸 보고 감탄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무종교인이나 크리스천이 대다수인 요즘 세대들은 모르는 경우가 많으며, 혹은 알더라도 거부감을 갖는 풍습이기도 하다. 상기했듯 입춘첩 자체가 일종의 부적이기 때문이다.
일본에도 입춘대길이라고 써 붙이는 풍습이 있지만, 대한민국만큼 흔하지는 않다. 또한 목조건물이 많은 문화적 특성 때문인지 건양다경 대신 '진방화촉'(鎮防火燭, 불조심)이란 말을 같이 붙인다.
입춘첩 문구로 주로 아래의 글귀들을 자주 사용한다고 합니다.
글귀 | 뜻 |
입춘대길 건양다경 (立春大吉 建陽多慶) |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밝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합니다. |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 (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 부모는 천년을 장수하시고 자식은 만대까지 번영하라. |
수여산 부여해 (壽如山 富如海) | 산처럼 오래살고 바다처럼 재물이 쌓여라. |
소지황금출 개문백복래 (掃地黃金出 開門百福來) | 땅을 쓸면 황금이 생기고 문을 열면 만복이 온다. |
거천재 래백복 (去千災 來百福) | 온갖 재앙은 가고 모든 복은 오라. |
재종춘설소 복축하운흥 (災從春雪消 福逐夏雲興) | 재난은 봄눈처럼 사라지고, 행복은 여름 구름처럼 일어나라. |
국태민안 가급인족 (國泰民安 家給人足) | 나라가 태평(太平)하고 백성(百姓)이 살기가 평안(平安)하고, 집집마다 살림이 부족(不足)함이 없이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豊足)해 살기가 좋다. |
아래표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일출/일몰/월출/월몰 시간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 | |||
일출(日出) | 07:34 | 월출(月出) | 13:05 |
일몰(日沒) | 17:58 | 월몰(月沒) | 02:43 |
※ 입춘첩 무료 나눔/써주기 행사 (수량 소진 시 조기 마감)
입춘이 다가옴에 따라 아래의 장소에서는 입춘첩을 무료 배부 혹은 무료로 써주신다고 합니다.
방문하시기 전에 홈페이지나 전화번호로 문의해서 헛걸음 하시는 일이 없도록 하세요. ^^
장소 | 주소 | 전화번호 |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37 (http://www.nfm.go.kr/) | 02-3704-3114 |
수원박물관 (중앙1층로비)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 265 (이외동) | 031-228-4164 |
안동 민속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3 (https://www.andong.go.kr/fm/main.do) | 054-821-0649 |
경기 남양주시 실학박물관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47번길 16 (https://silhak.ggcf.kr/) | 031-579-6000 |
부산시 정관박물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정관중앙로 122 (방곡리) 정관박물관 (museum.busan.go.kr/jeonggwan) | 051-720-6923 |
부천시박물관/부천문화원 | 경기도 부천시 소사로 638 | 032-684-9057~8 |
전주시 완판본문화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천동로 24 | 063-231-2212~3 |
제주민속촌 | 제주도 서귀포시 민속해안로 631-34 | 064-787-4501 |